2009. 6. 3. 22:43 IT/네트워크
XP ipconfig 명령 사용법
아마 XP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명령어 중 하나가 ipconfig명령어 일 것이다.
모든 명령이 그렇듯 ipconfig명령도 다양한 명령어 옵션을 가지고 있다.
물론 HELP옵션을 사용하면 영문으로 도움말이 출력되지만 우리말로 한 번 정리해 보았다.
사용법:
/displaydns | /registerdns | /showclassid adapter | /setclassid adapter [classid] ]
where
adapter Connection name (와일드카드 문자 * 와 ? 를 사용가능하다.)
옵션:
/? 이 도움말을 출력한다.
/all 모든 설정 정보를 출력한다.(MAC 주소,IP임대시간,DHCP 서버 IP,설정된 DNS 서버 IP포함)
/release 지정된 어댑터의 IP설정을 해제한다.(DHCP로 동작시)
/renew 지정된 어댑터의 IP설정을 갱신한다.(DHCP로 다시 IP를 받아온다.)
/flushdns DNS Resolver 캐쉬를 제거한다.
/registerdns DHCP로 설정된 IP임대시간을 갱신하고 캐쉬에 저장된 DNS Resolver정보를 다시 질의한다.
/displaydns DNS Resolver 캐쉬의 내용을 보여준다.
/showclassid 지정된 어댑터에 대해 class ID정보를 보여준다.(설정되어 있을 경우)
/setclassid 지정된 어댑터에 대해 class ID를 설정한다.
옵션없이 실행할 경우 각 네트워크 어댑터에 대해 IP주소,서브넷마스크,디폴트 게이트웨이를 보여준다.
Release와 Renew 옵션의 경우, 어댑터가 지정되지 않으면 TCP/IP프로토콜과 바인딩된 모든 어댑터에 대해 명령이 수행되어 IP설정을 해제하거나 갱신한다.
Setclassid 옵션의 경우 classid가 지정되지 않으면 classid설정이 삭제된다.
사용예:
> ipconfig <==설정정보 출력
> ipconfig /all <==좀더 자세히...
> ipconfig /renew <==모든 어댑터에 대해 IP를 갱신
> ipconfig /renew EL* <==EL로 시작하는 문자열을 가진 Connnection에 대해 IP를 갱신
> ipconfig /release *Con* <== Con 문자열을 가진 Connection에 대해 IP를 갱신
예. "Local Area Connection 1" 이나
"Local Area Connection 2"
> ipconfig /setclassid "로컬 영역 연결" DhcpTest
<== "로컬 영역 연결" 어댑터에 대해 classid 설정
주1) setclassid 설정 후 ipconfig 명령 실행시 출력되는 정보가 한 줄이 늘어난 것을 볼 수 있다.
Ethernet adapter 로컬 영역 연결:
Connection-specific DNS Suffix . : kornet
IP Address. . . . . . . . . . . . : 211.xxx.xxx.xxx
Subnet Mask . . . . . . . . . . . : 255.255.255.0
Default Gateway . . . . . . . . . : 211.xxx.xxx.254
DHCP Class ID . . . . . . . . . . : DhcpTest <==DHCP 패킷의 Option 77 활성화
주2) ipconfig /setclassid "로컬 영역 연결" 과 같이 하여 설정된 classid 설정을 삭제하여도, DHCP Class ID 항목은 없어지지 않는다.(물론 값은 삭제되었으므로 출력되지 않는다.)
그러나, 이 명령으로 추가되는 DHCP Option 77 은 정상적으로 비활성화된다.
참고: http://msdn.microsoft.com/en-us/library/dd358019(PROT.10).aspx
'IT > 네트워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WireShark 매뉴얼 (0) | 2009.06.07 |
---|---|
국가별 사용 IP대역 알아내기 (1) | 2009.06.05 |
XP ipconfig 명령 사용법 (0) | 2009.06.03 |
cisco장비 인터페이스 정보들 (0) | 2009.05.21 |
cisco configuration register (0) | 2009.05.21 |
FTP의 Passive-mode (0) | 2009.05.21 |
댓글을 달아 주세요